tar 명령어 사용법 정리


tar?

tar는 Unix/Linux 에서 아카이브(archive) 명령어로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는데 사용합니다.

압축하기(compress)는 별도의 gzip 등의 명령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.


보통 하나로 묶은 파일을 압축하여 .tar.gz 같은 형태로 사용합니다.


사용법

tar -[옵션] [아카이브 파일명.tar] [압축대상 files | directories]


옵션

※ 첫 번째 옵션은 모드 지정자여야 합니다.(-c Create  -r Add/Replace  -t List  -u Update  -x Extract)


옵션

 설명

 추가

 c (소문자)

 tar 묶음 파일 생성

 

 x

 tar 묶음 해제 

 

 t

 아카이브 파일 목록을 출력

 f 와 함께 사용

 f

 파일명 지정

 

 v

 상세한 진행과정을 출력

 

 C (대문자)

 경로 지정

 tar -[xf] 파일.tar -C 경로

 z

 gzip 으로 압축 및 압축 해제

 



압축하기(Create)

tar -cvf [묶을 파일명.tar] [대상 파일 혹은 디렉토리]


사용예

#묶을 파일들 지정하여 archive1.tar 파일 생성
tar -cvf archive1.tar file1.txt file2.txt ...

#묶을 디렉토리 지정하여 /home/user 경로에 archive2.tar 파일 생성
tar -cvf /home/user/archive2.tar directory1

#묶은 파일을 gzip 으로 압축하기
tar -cvzf archive3.tar.gz *.txt


압축풀기(Extract)

tar -xvf [묶음 파일명.tar] (-C [해제 경로])


사용예

#archive1.tar 파일 아카이브 해제
tar -xvf archive1.tar

#/home/user 경로에 archive2.tar 파일 아카이브 해제
tar -xvf archive2.tar -C /home/user

#gzip 압축과 아카이브 해제
tar -xvzf archive3.tar.gz


'운영체제 > Linux \ Uni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crontab(크론탭) 사용법  (0) 2019.01.07

+ Recent posts